소변으로 보는 우리 몸의 건강 상태

소변은 우리 혈액이 온몸을 돌면서 세포에 산소와 영양을 공급하는 과정 중 신장과 방광을 거치고 걸러지면서 체 외로 배출되는 대사 부산물로 인체에 필요한 성분인 적혈구와 백혈구, 혈소판 등의 유형 성분과 고분자 물질인 단백질은 다시 체내에 흡수되고 인체에 불필요한 성분인 요소나 요산, 크레아티닌, 만니톨, 이눌린 등을 체 외로 베출 하는 것으로 우리가 섭취한 음식이나 수분의 양에 따라 소변의 색은 물론 양까지 다양한 형태의 모습으로 우리의 건강을 어느 정도 판단할 수 있는 척도입니다. 소변이 만들어진 과정 중 첫 단계인 신장은 조직 일부가 70% 이상 전까지는 손상되더라도 남아 있는 조직이 몸의 평형 상태를 유지하여 별다른 이상이 나타나지 않지만 70% 이상 기능에 이상이 생길 경우 소변의 색과 양이 달라지거나 신체에 다양한 부위의 기능에 이상이 생길 경우에도 소변의 색이 달라지는 등 먹는 음식과 물의 양에 따라서도 소변의 색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소변이 만들어지는 과정] 동맥에 혈액 → 신장 유입 → 신장의 보먼 주머니가 혈액에서 오줌을 걸러냄 → 보먼 주머니를 지난 소변은 신장 가장 안쪽 부분인 신우에 도착 → 다시 방광으로 이동 → 방광에 소변이 200~400mL가량 모임 → 소변이 마려우면서 요도를 통해 배설 ※ 정상적인 소변은 물처럼 색이 없거나, 연한 노란색이나 황 갈색으로 색이 연하거나 짙어지는 것은 수분 섭취나 비타민B 섭취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가장 정상적인 소변의 색은 밝고 연한 노란색이라 할 수 있습니다. 소변으로 보는 우리 몸의 건강 상태 1. 밝은 노란색 소변 오래된 적혈구가 분해되면서 여러 과정을 거쳐 만들어지는 유로빌린이라는 체내 색소로 의해 결정되어 나오는 소변이 색이 투명할 정도로 밝은 노란색의 소변일 경우 건강한 사람의 소변 색으로 이러한 색깔을 가진 소변은 우리 몸에서 필요한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고 있다는 의미하는 것입니다. 2. 흰색이나 무색 소변의 흰색이나 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