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독한 방귀 냄새 원인과 방귀 냄새 없애는 법


 

지독한 방귀 냄새 원인과 방귀 냄새 없애는 법

 


방귀란 우리가 섭취한 음식물과 함께 들어간 공기가 장 내용물과 함께 발효에 의해 항문을 통해 방출되는 자연스러운 생리 현상으로 사람마다 차이는 있을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장 내에서 하루 500~4000cc의 가스가 만들어지고 이 중 250~300cc가 하루 평균 14회~25회의 횟수로 배출되는 것은 정상이며 또한 나머지 가스는 장벽을 통해 혈관에 흡수되어 숨 쉴 때마다 트림으로 몸 밖으로 빠져나가는 등 방귀의 양은 입을 통해 위로 들어간 공기의 양에 따라 그 양이 좌우되게 됩니다.


방귀는 특히 음식을 빨리 먹는 사람은 입을 통해 위에 들어가는 공기의 양이 많아져 방귀의 양도 많아질 뿐만 아니라 식후 바로 잠을 자는 경우에도 방귀가 많이 나오게 되며 반면 방귀 냄새가 심한 경우도 있는데 이는 소화가 느린 음식이나 육류 등의 섭취로 인해 발생하거나 대장 기능에 이상이 생긴 경우로 대개 대장에 특정 세균에 의해 발생하는 등 흔하지 않지만 특정 질환에 의해서도 발생하기 때문에 평소 올바른 식습관으로 지독한 방귀 냄새가 나지 않도록 개선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지독한 방귀 냄새 원인


1. 식습관

동물성 단백질이 많은 육류나 섬유질이 많은 음식들을 과다 섭취 할 경우에도 더 많은 방귀와 함께 심한 냄새가 날 수 있습니다. 


동물성 단백질이 많은 음식을 섭취할 경우 벤조피렌과 나이트로사민이라는 강력한 발암 물질 등이 체내에서 생성되면서 장 내에서 머무는 시간이 길어져 지독한 방귀 냄새의 원인이 되거나 브로콜리나 양배추와 같은 고섬유질의 음식들도 소화기관에서 분해되는 과정이 길어지면서 방귀 냄새의 원인이 되는 등 탄산음료나 빵 같은 당도가 높은 음식도 마찬가지로 갑자기 혈당이 상승하여 복부 팽만감과 함께 불편함이 동반되면서 냄새가 심한 방귀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2. 과식과 폭식

폭식이나 과식으로 인해서도 많은 양의 방귀와 함께 냄새가 심하게 날 수 있습니다.

한번에 갑작스럽게 많은 양의 음식이 몸에 들어오게 되면 많은 공기의 흡입과 함께 위나 장이 무리를 주면서 기능에 과부하가 생기면서 소화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을 뿐 아니라 뱃속에 가스가 증가하게 되어 많은 양의 방귀와 심한 방귀 냄새가 동반될 수 있습니다.



3. 변비

변비 증상을 가지고 있는 분들에게서도 방귀에서 심한 냄새가 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변비 증상이 나타나게 되면 장이 안 좋아지면서 소화 기능이 떨어진 장에서 분해하고 흡수되는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외부로 변을 배출하지 못하게 되고 이로 인해 대장에 대변이 오래 머무르게 되면서 섭취한 음식물이 발효되는 과정에 유해균이 증가하여 냄새가 심한 방귀를 배출할 수 있습니다.



4. 글루텐 과민증

글루텐 과민증은 식이 내의 글루텐에 대한 면역 이상이나 대사 이상 등으로 글루텐의 소화에 문제가 발생하여 나타나는 증상으로 모든 영양소에 대한 흡수 불량 증상이 나타나면서 설사나 복통, 체중 감소, 심한 방귀 냄새가 날 수 있습니다.


글루텐 과민증은 일반적으로 우리가 흔히 먹는 호밀, 보리, 밀 등에 포함된 글루텐 성분이 증상을 악화 시키는 경우로 인구의 약 1~2% 미만의 글루텐 과민증이 있는 사람들에게 발생하게 됩니다. 



5. 유당 불내증

유당불내증은 우리 몸은 유당을 소화 시킬 수 있는 효소가 부족할 때 나타나는 증상으로 어릴 때는 유당 분해 효소가 많아 분유나 우유 등을 마셔도 별 탈이 없다가 나이가 들어가면서 유당 분해 효소가 적어져 우유와 요거트 등과 같은 유제품을 섭취 시 유제품에 들어있는 락토오스라는 성분이 소화 과정 중에 장 내 박테리아에 의해 발효되면서 지독한 방귀 냄새와 함께 복통, 설사 등을 유발하게 됩니다.

질병이 아닌 유당 불내증은 조금씩 마시면서 그 양을 들려 얼마든지 개선이 가능합니다.



6. 과민성 대장증후군 

과민성 대장 증후군은 정서적 긴장이나 스트레스로 인하여 장관의 운동 및 분비 등에 나타나는 기능 장애로 특정 음식이나 스트레스, 심리적 요인, 장관의 염증 등에 의해 체내 염증 반응을 증가 시키고 분비 샘 기능이 저하되면서 면역 세포의 감소로 이어져 복통과 복부 불편감  등의 증상과 함께 변비와 설사 등 지독한 방귀 냄새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7. 소화기 질환

음식을 먹고 소화되는 과정에서 박테리아의 과 증식으로 인해 소화 기관이 감염이 되거나 크론병이나 궤양성 대장염 등과 같은 염증성 장 질환이 생길 경우 위장의 운동 기능이 떨어지게 되면서 정상인보다 더 많은 양의 가스와 함께 냄새가 심한 방귀와 복통, 설사 등을 유발할 수 있는 등 명치 부위의 팽만감은 물론 식사 후 답답함 이 증가하기도 합니다.



8. 약물 복용

제산제나 설사 약, 섬유 보충제, 아편유사제 진통제, 항우울제, 일반 의약품 진통제를 포함한 비스테로이성 항염증제 등 특정 약물을 복용 할 경우 몸에 유해한 병원균을 제거할 수 있지만 동시에 소화를 돕는 유익균도 제거되어 소화기 계통이 일시적으로 균형이 무너지면서 복부 팽만감과 함께 심한 방귀 냄새가 날 수 있습니다.



9. 종양

장 내에 종양이 생길 경우 독소가 생기게 되면서 심한 방귀 냄새와 함께 배출되는 양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특히 결장과 직장에 생기는 대장암은 악성 종양으로 동물성 지방의 과도한 섭취나 섬유질 섭취 부족, 칼슘, 비타민D의 부족, 굽거나 튀긴 음식, 운동 부족, 염증성 장 질환, 대장 용종, 유전적 요인 등으로 인해 발병하여 초기에는 대장암의 아무런 증상이 나타나지 않다가 진행이 되면서 식욕 부진과 체중 감소, 복통, 설사 또는 변비, 심한 방귀 냄새 등 배변 습관의 변화가 나타나면서 직장 출혈 증상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정기적으로 대장 내시경 검사를 하여 미연에 예방하셔야 합니다.



지독한 방귀 냄새 없애는 법

1. 물을 충분히 마셔 체내의 노폐물을 효율적으로 배출 시키는데 도움을 줍니다. 


2. 빵이나 맥주, 와인, 탄산음료 등 단맛을 내는 음식들은 체내에 가스를 증가 시킬 수 있기 때문에 줄여주시는 게 좋습니다.


3. 고지방과 고단백질, 섬유소가 적은 식단은 대장 질환을 유발해 지독한 방귀 냄새의 원인으로 대장 건강을 위해 규칙적인 운동과 균형 잡힌 식단이 중요합니다.  


4. 불용성 섬유소인 펙틴이 풍부해 장 환경에 좋은 사과와 장 내 유익균 중 비피더스균을 증가 시켜 장의 운동을 돕는 우엉 등 양배추와 같이 비타민U와 비타민K가 풍부한 음식으로 장 내 환경을 개선해 줍니다.


5. 약물 복용으로 인해 증상이 나타난다면 먼저 약의 복용을 중단한 후 담당 의사와 상담 후 섭취하셔야 합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일본 여행 시 여권 유효기간, 최소 몇 개월 남아야 할까? 입국·항공사 기준 완전 정리!

2025년 최신판! 인천공항 1터미널 버스 탑승 장소 한눈에 보기

인천공항 1터미널 출구별 버스 타는 곳 & 리무진 정류장 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