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바닥 통증 부위 별 원인과 치료 방법

발바닥 통증 부위 별 원인과 치료 방법

발바닥에는 신체 다른 어느 곳에서 든 볼 수 있는 털과 색소가 결여되어 있으며 땀샘이 다량으로 집중되어 있고 손바닥처럼 발바닥의 땀 구멍에는 피지 샘이 결여되어 있는 부위로 우리의 체중을 항상 감당해야 하기 때문에 피로감을 쉽게 느낄 수 밖에 없습니다. 


발바닥에 통증이 발생하는 원인은 다양한데 첫 번째로는 발바닥의 반복적인 부하로 인해 뼈에 미세 골절이 생기고 누적되면서 발생하는 피로 골절이나 비복근과 가자미근의 원위부가 합쳐져 중골에 부착하여 이곳에서 발생한 염증인 아킬레스건염, 또는 척추 뼈와 뼈 사이의 구조물인 디스크가 탈출 된 증상으로 외부의 충격이나 잘못된 자세 등으로 인해 튀어 나오게 되면 염증이 생기고 신경을 눌러 요통,방사 통 등의 통증을 유발하는 허리 디스크와 엄지발가락이 새끼 발가락쪽으로 기울어져 통증을 유발하는 무지외반증 등 다양한 요인으로 통증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 통증도 발바닥에 발생한 부위에 따라 근본적인 원인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발바닥 통증 부위 별 원인과 치료 방법


1. 발바닥 뒤쪽

족저근막염

족저근막염은 발뒤꿈치 뼈에서 시작하여 발바닥 앞쪽으로 5개의 기저 부위에 붙은 두껍고 강한 섬유 띠에 반복 적으로 미세한 손상이 누적되면서 발생하는 염증이 통증을 일으키는 성인의 발뒤꿈치 통증의 대표적인 질환으로 대개 평소 운동을 하지 않던 분들이 갑자기 과도한 운동으로 쉽게 발생하는 것으로 장거리의 마라톤이나 조깅을 한 경우나 딱딱한 바닥에서 운동한 경우, 과 체중, 장기간 서 있을 경우, 쿠션이 없는 구두를 신었을 경우, 하이힐을 신었을 경우 등 특히 당뇨 환자나 관절염 환자에게 동반되기도 합니다.

치료 방법

먼저 족적근막염을 예방하려면 본인에 체력에 맞게 운동을 해야 하며 발바닥의 충격을 흡수해줄 수 있는 쿠션 등을 신발에 넣어주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으며 꾸준히 스트레칭을 해주면서 근육을 늘려주는 등 원인을 제거하고 보조기 착용과 비스테로이드성 소염 진통제, 체외 격파요법 등으로 치료하되 호전이 안될 경우 수술 적 치료를 시행하게 됩니다.



2. 발바닥 앞쪽

지간신경종

발바닥 앞쪽에 통증이 나타나는 지간신경종은 발바닥 및 발가락을 지나는 곳에 염증이 생겨서 주변 조직이 딱딱해지고 신경을 압박하면서 통증이 나타나며  대개 세 번째나 네 번째 발가락 사이로 찌르는 듯한 통증이 느껴지면서 걸을 때 화끈한 느낌이 나는 것이 특징으로 구두나 하이힐 등 발 볼이 좁은 신발이나 잘 맞지 않는 불편한 신발을 오랜 시간 착용하였을 경우 등 남성보다는 여성들에게 자주 발생하여 발바닥 앞쪽이 타는 듯한 느낌과 함께 찌릿한 통증이 나타나거나 발가락이 저리는 듯한 느낌과 발가락이 무감각해지는 증상도 동반하기도 합니다.


치료 방법

먼저 지간신경종의 초기에는 볼이 넓으며 부드럽고 굽이 낮은 신발을 이용하여 발 앞쪽이 압박 되지 않고 중 족지 관절이 과도하게 펴지지 않도록 하고 중족골 패드를 중족 골두 근위부에 붙여서 압력을 줄일 수도 있으며, 중족골 압력을 줄이기 위한 발바닥 보조기 등과 함께 염증 주사 치료를 시행하며 통증이 심할 경우에는 수술 적 치료도 시행할 수 있습니다.



3. 발바닥 안쪽 움푹 들어간 부분

부상 골 증후군

발바닥 안쪽의 음푹 들어간 부분에 통증이 발생한 경우는 부상 골 증후군 증상으로 부상 골 증후군은 복숭아뼈 아랫부분과 엄지발가락을 잇는 주상 골 옆에 부주상골이 붙어있는 작은 뼈가 정상적으로 붙어 있지 않거나  신발과 마찰을 일으켜 통증이 발생하는 것으로 평소에는 별다른 통증은 없으나 신발을 신거나 발목이 접질렸을 때 부주상골 주변의 힘줄에 손상을 주어 통증이 발생하여 복숭아뼈 주위가 자주 붓고 찌릿한 통증이 나타나는 등 특히 평발이 분들에게 자주 발생할 수 있습니다.


치료 방법

부상 골 증후군은 신발에 의한 압박, 과 사용, 외상으로 인한 경우가 많으므로, 여유 있는 신발을 신고, 발에 무리가 가는 활동을 피하는 것이 좋으며 장시간 보행 또는 서 있는 자세, 발뒤꿈치를 들어 올리는 동작은 피하는 것이 좋고 비만의 경우에는 악화의 원인이 되므로 적절한 체중 유지가 도움이 되는 등 증상의 초기에는 해당 부위를 깁스하여 보호하며 통증이 발목까지 뻗어 심한 경우에는 주상골 절제술. 부주상골 절제 및 후경골건 재부착술, 피하 천공술, 부주상골의 골유합술 등 다양한 방법으로 수술 적 치료를 시행하게 됩니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아보카도 오일, 정말 건강에 좋을까? 성분 완전 해부

신장 기능 저하? 이렇게 하면 콩팥 건강 지킬 수 있다

샐러드부터 볶음까지, 아보카도 오일 활용법 총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