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심증 초기 증상과 원인 자가 진단 방법
심장은 3개의 큰 혈관인 관상동맥에 의해 산소와 영양분을 받고 기능을 유지하며 우리의 생명을 유지해 주는데 가장 중요한 기관으로 이러한 심장에 만약 동맥경화증이나 혈전증 등과 같은 질환으로 인한 혈관의 수축과 연축 등이 원인이 되어 심장에 가장 큰 3개의 혈관 중 어느 한 곳이라도 70% 이상 좁아질 경우 혈류 공급이 감소하면서 산소와 영양 공급이 급격히 줄어들게 되어 가슴 통증과 함께 호흡 곤란을 동반하는 협심증은 조기에 치료하지 않을 경우 심근경색으로 진행되어 매우 위급한 상황에 처할 수 있기에 빠른 진단과 더불어 치료가 필요한 질환입니다.
주로 40대 중 장년 층 남성에게서 발병률이 높은 협심증은 그 원인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협심증 증상으로 다음과 같이 3가지 형태로 나뉘게 됩니다.
- 안정형 협심증 : 동맥경화증으로 인해 혈관이 만성적으로 좁아진 상태로 운동이나 계단을 오를 때 등의 활동 시 통증이 나타나거나 스트레스 또는 추운 날씨, 흡연 등으로 인해 안정 형 협심증이 발병할 수 있습니다.
- 불안정형 협심증 : 죽상경화병변으로 인해 혈관이 파열이 되면서 혈전이 생겨 급작스럽게 증상이 나타나는 불안정 형 협심증은 예고 없이 발생하는 증상으로 가만히 있어도 증상이 나타나 위험성이 높을 뿐 아니라 시간이 지날수록 증상이 더욱 잦아지고 심해지는 협심증입니다.
- 이형성 협심증 : 죽상경화병변이 별로 없는데도 불구하고 혈관의 수축과 연축에 의한 문제로 인해 혈류에 장애가 발생하여 초래되는 이형성 협심증은 새벽이나 이른 아침에 자주 발생하는 협심증입니다.
협심증 초기 증상과 원인 자가 진단 방법
협심증 원인
협심증은 심장에 위치한 관상동맥에 이상이 생길 경우 발생하는 질환으로 만성적인 동맥경화증이나 혈전 등으로 인해 좁아진 심장 혈관이 70% 이상 막힐 경우 심근의 일부가 허혈에 빠져 심장으로의 혈류가 원활하게 되지 않게 되면서 협심증을 발병하는 것으로 다음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협심증이 발병할 수 있습니다.
- 노화 : 40대 이상이 되면 혈관의 급격한 노화로 인해 협심증의 발병 위험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 흡연 : 흡연은 심장 내 혈관에 콜레스테롤을 축적 시키고 노화를 촉진해 좁아진 혈관으로 인해 혈류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게 되면서 협심증의 발병 위험이 높아지게 됩니다.
- 가족력 : 부모 형제 중 65세 이하의 연령에서 허혈성 심장 질환을 앓은 분들이 있는 경우 협심증 발병 위험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 비만 : 비만인 경우 과도한 지방의 축적으로 인해 혈관이 좁아져 협심증 발병 위험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각종 질병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운동 부족 : 운동 부족으로 인해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아지면서 좁아진 혈관에 혈류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게 되면서 협심증의 발병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 스트레스 :스트레스는 혈관을 수축 시켜 높은 혈압을 비롯해 호르몬 이상과 불면증 증상 등을 유발하여 협심증 증상을 더 악화 시킬 수 있습니다.
- 고열량과 고지방 섭취 : 높은 열량과 지방 등의 과도한 섭취는 혈중 콜레스테롤과 중성 지방 수치를 높여 혈관을 좁게 만들어 협심증 뿐만 아니라 심장병의 발병 위험 또한 높아질 수 있습니다.
- 고혈압 : 고혈압은 심장의 관상 동맥의 손상을 촉진해 혈관이 좁아지면서 협심증 발생 위험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 당뇨병 : 당뇨병을 앓고 있는 사람의 경우 일반 사람들에 비해 동맥경화증이 발병 위험이 높아 협심증의 발생 위험 또한 높아질 수 있습니다.
협심증 초기 증상
협심증의 주요 증상은 쥐어 짜는 가슴 통증이 특징으로 평상시에는 이상이 없다가 주로 운동 등의 활동을 하거나 추운 날씨 환경의 활동 등 심장 근육에 급격히 산소가 필요할 경우 통증이 발생하여 5~10분 통증이 나타나지만 30분 이상 가슴 통증이 지속되는 경우도 있는 등 이러한 통증의 증상은 안정을 취하면 대개 사라지게 되며 다음과 같은 초기 증상이 먼저 나타나게 됩니다.
- 가슴이 바늘로 콕콕 찌르는 느낌과 쥐어 짜는 느낌의 가슴 통증이 특히 격렬한 운동이나 운동 후 2~3 분간 지속되다가 가라앉는 경미한 통증을 비롯해 혈액이 심장으로 공급되지 못해 빈혈과 속 쓰림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신체에 혈액 순환이 원활하지 않게 되면서 특별히 격렬한 운동을 하지 않더라도 극심한 피로감과 식은땀은 물론 저체온증 증상도 동반할 수 있습니다.
- 산소가 심장에 원활하게 전달되지 않게 되면서 평소 가만히 있거나 운동을 하지 않아도 숨이 차는 느낌과는 다르게 가슴 중앙에서 시작하여 답답함의 호흡 곤란 증상이 나타나며 이때 휴식을 취해도 피로가 잘 풀리지 않는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 평소보다 속이 더부룩한 증상과 함께 소화가 잘 안 되는 소화 장애 증상이 자주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심장의 혈액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어지럼증과 함께 두통이 동반하게 됩니다.
- 가슴 통증은 시간이 지날수록 뒤쪽으로 퍼지면서 목이나 턱, 팔, 어깨, 등까지 통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일반적으로 가슴 통증은 5분 이내에만 증상이 나타나지만 그 이상으로 통증이 지속될 경우 심장마비의 위험이 높아질 수 있기 때문에 병원에 빠르게 방문하여 진료를 받으셔야 합니다.
협심증 자가 진단
- 평소 아무런 이상이 없다가 최근 1년 이내에 가슴 통증이 자주 느껴지는 경우
- 계단이나 높을 곳을 오를 때 호흡하기가 매우 힘든 경우
- 통증의 강도나 횟수가 점점 증가하는 경우
- 잦은 가슴 통증으로 인해 휴식을 취해도 안정되지 않을 경우
- 과식을 하면 가슴 중앙 부위가 뻐근해지는 경우
- 무거운 물건을 들 때 가슨 전체에 찌르는 듯한 느낌이 드는 경우
- 날씨가 추운 날이나 아침에 일어날 때 가슴 부위에 통증과 함께 압박감이 느껴지는 경우
협심증 예방 법
협심증은 심장 혈관의 이상으로 인해 발병하는 질환으로 심장 혈관을 강화하기 위해 먼저 매일 30분 이상의 규칙적인 운동과 함께 건강한 식습관의 교정 및 금연 등의 실천을 통해 혈관과 콜레스테롤 수치를 적절하게 관리하여 건강한 혈관을 유지해 주셔야 합니다.